미국주식 기업정보

알파벳(GOOG) 주식 기업정보

돌연변이 투자자 2025. 1. 22. 17:04
반응형

■ 기업 정보

CEO 선다 피차이
창립자 래리 페이지, 세르게이 브린
본사 미국 캘리포이나
창립일 1994년 7월 5일

 

■ 비즈니스 모델

구글서비스 유튜브, 크롬, 구독 등
클라우드 구글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자회사 구글, 웨이모, 베릴리 생명과학 등

 

 

 

■ 매출 비중

지역별(2023)
비즈니스별(2023)

* 구글 서비스 : 검색, 유튜브, 네트워크 광고, 구독 서비스 등

 

■ 이익/성장률

구분 5년 평균
매출총이익률 55.68%
영업이익률 26.1%
자기자본이익률 24.03%
EPS성장률 21.56%
매출성장률 17.57%

 

■ 배당

구분 현재
배당률 0.41%
배당성장률 1년 미만

 

■ 자사주 매입 및 소각

위: 주식 보유량 / 아래 :발행&소각 비율

■ 기업 사명

 "세계의 정보를 조직하고 그 정보를 누구나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

■ 경제적 해자

1. 네트워크 효과

현재 검색엔진의 앞도적인 선두주자로 위치하고 있다.

대부분 구글의 크롬 검색엔진을 사용 중이다.

많은 사람들이 크롬, 유튜브 등 알파벳의 서비스를 이용하며

자연스럽게 수많은 광고가 알파벳의 서비스에 등록된다.

최근 반독점법 규제로 구글의 크롬 분사 이슈가 있었다.

보통 반독점법 이슈에 걸리면 주가가 하락한다.

그때가 사실 기회이다. 반독점법에 휘말린다는 건

강제로 막지 않는 이상 경쟁자들이 도저히 따라잡 을 수 없을 만큼

앞도적인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 미래 성장 동력

-  자율주행(웨이모)

  → 자율주행을 활용한 로보택시 웨이모가 가장 먼저 시장에 진출하였다.

       아마존의 쥭스와 테슬라 또한 곧 시장에 진출할 예정이다.

       로보택시 사업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누가 로보택시의 승자가 될 것 인가?

       로보택시 사업에 한정하여 자율주행 성능은 크게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1. 결국 테스트를 거쳐 안정성을 확보 후 시장에 진출했기 때문

       2. 대부분의 수익은 도로 사정이 잘되어 있는 대도시에서 이루어질 것 이기 때문

       

       로보택시는 B2C 사업이고 소비자 입장에서 중요한 것은 택시요금이다.

       결국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격은 비슷하게 맞춰질 것이다.

       로보택시 사업에서 승자가 되기 위해선 결국 시장 점유율 확보가 핵심이다.

       웨이모의 경우 현재 개발비용이 굉장히 비싸고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테슬라는 웨이모에 비해 저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게 가져갈 우위를 가진다.

       다만 로보택시 사업의 경우 정부의 규제가 불가피하기 때문에

       앞으로 상황을 지켜봐야 될 것 같다.

 

- 데이터센터의 필요성과 확작성

     AI 수요로 인한 데이터센터의 필요성으로 알파벳 역시 데이터센터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유지 중이다.

 

- AI(제미나이)

  → 알파고의 회사인 만큼 AI 기술력 또한 우수하다.

       제미나이 2.0을 발표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있다.

       하지만 AI로 큰 이익을 얻는 것은 알파벳을 포함한 모든 기업들의 숙제이다.

■ 기타 특징 및 나의 생각

- 알파벳은 굉장히 매력적인 투자대상이다.

  안정적인 현금흐름, 밝은 미래전망 사업(클라우드, AI, 자율주행 등),

  다른 빅테크에 비해 비교적 낮은 밸류에이션.

  하지만 오히려 비교적 낮은 밸류에이션 때문에 투자하기 꺼려지는 부분이 있다.

  애플, 아마존은 이익을 굉장히 중요시 생각한다.

  알파벳은 이익보다 윤리를 더 중요시하는 의사결정을 종종 보인다.

  물론 존경받을 만한 일이지만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렇게 반가운 상황은 아니다.

  아마 오래전부터 다른 빅테크에 비해 밸류에이션이 낮은 이유 중 하나가

  이 부분 때문이 아닐까 싶다.(내 생각으로 틀릴 가능성 높음)

 

 

 

 

      

       

 

 

 

※자료 출처 : 기업 보고서, 인베스팅, 파이낸스차트, 매크로트렌드 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