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인사이트&마인드

부자가 되는 방법(feat. 경제적 자유 이루기)

돌연변이 투자자 2025. 1. 22. 15:07
반응형

1. 부자의 기준

우리나라에서는 금융자산 10억 원 이상 보유 시 '부자'라는 집단에 포함된다.

하지만 실제 부자들을 설문조사 한 결과, 이들의 생각은 달랐다.

한국부자들은 100억 원 이상 소유해야 부자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다른 누군가는 20억 원 이상 소유하면 부자라고 생각할 것이다.

부자라고 느끼는 금액에 왜 이렇게 큰 편차가 나는 걸까?

2. 자신에게 집중

일반적으로 우리는 자신에 집중하기보다 타인에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GDP가 올라가고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우리들의 삶의 질도 향상되었다.

우리는 분명히 과거보다 잘 살고 있고 경제적으로도 좀 더 여유로워진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경제적으로 여유 있고 풍족하게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 이유에는 몇 가지가 있다.

 

① 다른 사람들도 나와 비슷한 환경(GDP, 경제 성장)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내가 특별히 더 잘 살고 있다고 느끼지 못한다.

② 대부분의 근로소득자들은 물가 상승률과 비슷한 근로소득 상승률로 생활 수준은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자본주의를 이해하고 복리로 자산을 증식시키는 사람들은 항상 소수이며 

    빈부격차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은 더 증가한다.

 

타인과 외부환경 등 밖에서 정답을 찾으려고 하면 절대 이 문제에 대해서 극복할 수 없다.

우리는 우리 자신에게 집중해야 한다.

3. 목표 세우기

무엇을 달성하기 위해선 당연하게도 목표를 세워야 한다.

이 글을 읽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자라는 목표를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다 현실적인 목표를 세워야 한다.

단순히 "10억을 벌고 싶다.", "부자가 되고 싶다."라는 추상적인 목표는 

동기부여가 약하며 중도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Step 1 - 연 필요 현금(생활비, 고정비용 확인)

2025년부터는 1년간 가계부를 작성해 보자.

가계부를 작성하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있지만

1년간 대략 어느 정도의 현금이 필요한지도 알 수 있다.

Step 2 - 4%의 법칙

매년 자산의 4%를 인출 시 안정적으로 30년간 생활할 수 있다는 법칙이다.

다만 연평균 수익률이 7~8%인 포트폴리오에서 안전하게 4%를 인출하다는 가정으로

꼭 4%를 인출할 필요는 없고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운영하면 된다.

앞에서 여러분의 연 필요 현금을 구하였는가?

 

4천만 원의 필요현금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총자산이 10억 원이 있어야 한다.

8천만 원의 현금흐름을 필요로 하는 사람은 총자산이 20억 원이 있어야 한다.

Step 3 - 연 필요 투자성과(투자금, 수익률)

여러분은 연 필요현금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른 총 필요 자산이 얼마인지도

알게 되었다.

 

그다음 스텝은 여러분이 경제적 자유를 이루기 위한

연 투자금과 연평균 수익률을 확인해 보는 것이다.

 

은퇴시점은 2045년으로, 20년간 매년 2,000만 원을 투자한다고 가정해 보자.

투자상품 연평균 수익률 20년 투자 원금액 20년 투자 평가액
은행 2% 400,000,000 516,135,008
주식 12% 1,639,917,002

* 연 복리 기준이며 실제 평가액은 더 높을 것.

* 은행에 투자 시 1억 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하였지만 인플레이션을 감안하면

  실질수익률은 손실이다.

 

4. 투자의 방향

위는 예시를 들어 설명한 것뿐이다.

투자의 세계에서 정답은 없다. (오답은 있다)

부동산에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다면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 옳으며

자영업자의 경우 자신의 사업 확장에 투자하는 것도 투자라고 할 수 있다.

여러분들이 부자가 되기를 원한다면, 경제적 자유의 달성을 원한다면

얼마가 필요한지, 얼마큼의 수익률이 필요한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어디에 투자를 해야할지 등등.

생각보다 많은 고민들을 해야 된다. 

 

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고 싶어 한다.

하지만 그냥 되고 싶어만 한다.

 

찰리멍거 : "부자가 되는 것이 왜 쉬울 거라고 생각하는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