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OE는 많이 거론되는 투자 지표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ROE가 높으면 좋다." 정도로만 알고 있다.
ROE에 대해 좀 더 깊이 있게 알아보자.
1.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
- 1. 순이익 나누기 자기자본 → (Net incomeShare÷holder equity) × 100%
- 자기자본은 한국 번역이며, 실제 의미는 주주자본임
- 주주친화적 미국주식의 경우 중요한 지표로 여김
- 즉 주주의 돈으로 얼마큼 이익을 내는지 나타냄
- 반적으로 ROE는 높을수록 좋다고 봄
- 자기자본 = 총 자산 - 부채
2. ROE 구하기 실전
1. 아래 사이트에 접속
2. 검색창에 주식 티커 검색 - NKE
3. 자산&부채 > 자기자본 클릭
4.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 순이익 클릭
3. 나이키 최근 5년 ROE
구분 | Share Holder Equity | Net Income |
ROE
|
2024 | 14,430 | 5,700 | 39.5% |
2023 | 14,004 | 5,070 | 36.2% |
2022 | 15,281 | 6,046 | 39.5% |
2021 | 12,767 | 5,727 | 44.8% |
2020 | 8,055 | 2,539 | 31.5% |
*(Millions of US $)
4. ROE를 바라보는 시선
1. ROE는 여러 주식관련 사이트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2. 하지만 직접 계산해봄으로써 ROE의 의미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3. 그럼 ROE는 얼마가 높아야 할까?
기본적으로 5년 평균 20% 이상이면 훌륭하다고 볼 수 있다.
4. 하지만 단순히 ROE의 수치만으로 다른기업과 비교하는 것은 안된다.
자사주매입 및 소각 시 자기자본이 줄어들고 순이익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ROE는 증가한다.
애플같은 경우 ROE가 150%가 넘어가기도 한다.
5. ROE가 꾸준히 높게 나오는지 참고하고 낮으면 왜 낮게 나오는지 분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반응형
'재무제표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마존은 PER이 아닌 PSR을 봐야하는 이유 (0) | 2025.04.08 |
---|---|
투하자본수익률(ROIC) 배우기 - Feat. 애플 (0) | 2025.04.04 |
PER 의미와 활용법( 나이키&데커스 아웃도어 ) (0) | 2025.02.03 |
매출총이익률(GPM) 배우기 - 엔비디아 GPM 구하기 (0) | 2025.02.02 |